2009년 7월 31일 금요일까지는 민주당 홈페이지(http://www.minjoo.kr)에 정상 접속이 되었었다.
그러나, 2009년 8월 3일, 민주당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니 접속 불가다. (8월 1~2일에는 접속을 해보지 않았다)
내 PC에는 해외의 공개 DNS 서버의 주소를 수작업으로 설정을 해 놓고, 사용하고 있다.
그러한 시행의 시점은 아마도 작년 하반기 혹은 올해 상반기 사이일 것이다.
그것의 계기는, 내가 자주 방문하는 홈페이지(예를 들면, 한국리눅스유저그룹 – http://www.lug.or.kr)가 자주 접속이 되지 않았고, 그것의 원인은 다름 아닌, 내 PC가 해당 Domain Name 에 대한 질의를 시행할 때 접속하게 되는 국내의 몇몇 DNS 서버들이, 그 Domain Name 에 대한 정상적인 응답을 주지 않아, 접속 불가 현상이 자주 나타났었기 때문이다.
그래서, 늘상 이용해 오던, KT나 하나포스 등 국내의 DNS 서버 설정을 포기하고, 해외의 공개 DNS 서버, 예를 들면, OpenDNS의 IP주소(208.67.222.222 / 208.67.220.220)로 내 PC의 DNS 설정을 바꿨고, 그 후로는 그러한 접속 불가 증상들이 사라졌다.
이어서,
2009년 8월 3일부터 OpenDNS 를 통해 민주당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, 접속 불가라는 결과가 있어, DNS 주소를, 코모도 보안 DNS (COMODO Secure DNS, 156.154.70.22 / 156.154.71.22)를 비롯해, 대략 7개 가량의 해외의 공개 DNS 주소로 바꿔서 각각 시험을 해보았지만, 역시 민주당 홈페이지(http://minjoo.kr)로는 접속이 안된다.
단, 국내 DNS(SK브로드밴드의 DNS)로는 접속이 잘 된다. (현재, SK브로드밴드의 DNS로는 정상 접속이 되므로, KT등 국내 DNS로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)
이것의 결과를 가지고 좀더 확장시켜 추정해 보면, 해외에서, 해외의 DNS로는 우리 한국의 민주당 홈페이지로는 접속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라고 나는 추정한다. (단, 해외에서, 국내의 DNS로 설정할 경우에는 접속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, 2009년 8월 4일 11:30분 현재)
많은 경우들로 시험한 것이 아니므로, 좀더 많은 환경(해외 현지 포함)에서의 시험 결과가 있어야 할 것이나, 소수의 시험(KT, 큐릭스, SK브로드밴드 회선과 4대의 PC로 시험) 결과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디지털 결과이므로, 민주당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, 서버 관리 외주 업체와 상의하여, 문제의 원인을 찾고 조속한 해결이 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 주길 바란다.
매월 회비를 내고 있는 민주당 당원인데, 민주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못하고 있다.
“해외 DNS로 접속이 안되면, 국내 DNS로 접속할 것이지 뭔 말이 많으냐?” 이것은 내가 원하는 답변이 아니며, “해외의 DNS로도 민주당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.” 이것이 나에게는 핵심이다.
※ .KR 도메인의 특성인지, 통상적으로 해당 도메인에 대한 1차, 2차 IP주소가 바로 할당이 되는 것이 통상적인데, .KR 도메인은 또 다른 도메인명칭이 할당되는 체계가 특징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※ 2009년 8월 6일 13시 54분 현재, 민주당 홈페이지(http://www.minjoo.kr/)로 정상 접속이 되고 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